혁신 금융 기술과 선 순환 4차 산업 경제

Heung-No Lee Avatar

·


Innovative Financial Technology and Virtuous Cycle Fourth Industrial Economy

 

광주과학기술진흥원 연속 기획 컬럼 5호

2019년 8월 22일

GIST 이흥노

전기전자컴퓨터공학부 교수

센서지능화 센터장/블록체인경제 센터장

 


The purpose of my sequential planning column is to study future issues and provide policy directions for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he topic of the Fourth IR in Korea is very familiar. As discussed in the last article, this topic swept South Korea since 2016. Numerous technical and policy seminars were held. In this article, we will examine how well we are preparing. As of 2019, let’s check how well we are prepared. See if there’s any area missing or in need of improvement. See if we can make up for it.

 

To date since 2016, the support from the government has been systematized. In sectors such as Technology and R&D, Start-up Supports, and Ecosystem Construction, each is considered well progressed.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Committee has been launched as a presidential committee. The Innovation Headquarters was established in the Ministry of Science and ICT. The Office of Small and Medium Business Administration was promoted into a new Ministry of SMEs and Startups. According to the August 21, 2019 press release, raising 200,000 Innovative Workforce such as AI, the government will invest 4.71 trillion KRW next year in areas such as AIs, Automobiles, System Semiconductors, and 5G Mobile Communication. The company plans to cultivate 200,000 innovative talents to work in the field of artificial intelligence (AI) for five years. Said it will increase to 1.6 trillion KRW next year. The Ministry of SMEs and Startups announced on August 15 that it will invest KRW 72.2 billion in additional amendment budgets to support middle-aged entrepreneurship and technology entrepreneurship,
support the development of entrepreneurship items, apply for and register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marketing costs, and provide dedicated mentoring and training.

 

 

그동안 국가 지원은 체계적으로 이루어졌다. 기술 및 연구개발, 창업지원, 생태계 구축 부분 등으로 잘 진행되어 왔다. 대통령 직속 4차 산업혁명위를, 과기부에 혁신본부를 만들었고, 중기청을 중기부로 승격하였다. 2019년 8월 21일자 보도자료 <AI등 혁신인재 20만명 키운다> 에 의하면, 정부는 미래 자동차, 시스템 반도체, 5세대(5G) 이동통신 등의 분야에 내년 4조7100억원을 투자하기로 하였고, 5년간 인공지능(AI) 분야 등에서 일할 혁신 인재도 20만 명 양성하기로 했다, 또한 광주광역시와 지스트가 함께 추진했던 AI 중심 융복합단지 조성사업, AI가 적용된 차세대 로봇 기술 개발 사업 등 올해 8123억원에서 내년 1조600억원으로 증액한다고 밝혔다. 중소벤처기업부는 8월 15일 722억 원 규모 추가경정예산을 중장년창업과 기술창업 지원에 투입하고 창업아이템 개발과 지식재산권 출원과 등록, 마케팅 비용을 지원하고 전담멘토링과 교육을 제공한다고 밝혔다.

 


In the private sector, a corporate group called Technological Independence Army was created. It is a socio-technical organization under which technology companies such as artificial intelligence, big data, and smart factories gather to prepare for and study the 4th IR. Major tech universities such as GIST, KAIST, and Seoul National University have greatly increased the opening of AI-related courses, AI professors have been secured, and Ph.D. students are being fostered. With the support of the Ministry of Science and ICT, a national program Artificial Intelligence Graduate Schools has been created, in which billions of dollars are budgeted each year. In other words, various new plans in terms of technology development, education program development, and technical manpower development related to the 4th IR have been created at the government level, at the ministry level, at the university level, and at the corporation level.

 

민간에서는 <기술독립군>이라는 기업체모임이 생겨났다. 인공지능/빅데이터/스마트팩토리 등의 기술 기업들이 모여 4차 산업혁명을 대비하고 공부하는 모임이다. 지스트, 카이스트, 서울대학 등 주요 대학에서는 인공지능 관련 교과목 개설이 대폭 늘어났고, 인공지능 관련 교원이 확보되었으며, 석 박사 과정 학생들이 육성되고 있다. 과기부의 지원으로 매년 수 백억씩 예산이 투여되는 <인공지능 대학원> 사업도 만들어 졌다. 즉, 4차 산업혁명에 관련된 새로운 기술 개발, 교육 프로그램 개발, 기술 인력 양성 계획들이 정부 차원에서, 부처 차원에서, 대학 차원에서, 지자체 차원, 기업체 차원에서 속속 만들어져 왔다고 본다.

 

Even with such broad supports, there still seems something is missing. What is that? I’m now concerned about unbalanced supports. Too much Google, Amazon.com, Facebook, Tesla we see in these plans. I cannot see the future going beyond what these companies can provide. The future of human beings to solve the problem of humanity and move to TransHuman beings, and the future of our startups to lead and grow in the global economy within that future is not seen.

 

위와 같은 폭넓은 지원에도, 아직 무언가 부족해 보인다. 그게 뭘까? 기술 편식이 우려된다. 너무 구글, 아마존닷컴, Facebook, Tesla 스럽다. 이들 기업이 사라지는 미래를 대비하는게 안 보인다. 인류의 문제를 해결하고, TransHuman으로 나아가는 새로운 미래 인류 모습, 그런 미래 속에서 세계 경제를 선도할 우리 기업의 미래가 엿 보이지 않는다.

 

It is now very difficult, in 2019 Korea, to expect economic growths just by making investment in the technology sector. There are no other advanced countries we can turn to and learn. It is no matter how good the technology is. Not enough is the excellent science and technology manpower. What we desperately need is the ability to grow Korean startups into Unicorns that can sail through global competition and grow into a company with more than 1 trillion USD in enterprise value. There are intense competition caused by globalization. No matter how excellent the science and technology is, technology alone is not sufficient to make economic results. In a leading economy that needs to lead the world, creativity needs to be supported. Creativity is nurtured through competition. This is why Gwangju’s Artificial Intelligence Complex Development Project aimed at fostering business groups. These companies, which have a common element of Artificial Intelligence, compete with each other. Among them, very few companies that have secured human and financial resources will grow into global companies. On the investor side, there should be an investment market with large, medium and small paybacks. A healthy investment market must exist for the ecosystem to grow and the companies in it to grow as well.

 

이제 남의 것을 좇아가는 과학기술개발에 예산을 쓰고 경제적 성과를 예상하기 어렵다. 아무리 좋은 기술을 확보하고 우수한 과학기술 인력이 있어도 글로벌 경쟁을 이겨내고 1조 이상 기업가치를 일구어내는 유니콘기업을 만들어 낼 수 없다. 세계화로 인한 극심한 경쟁으로 아무리 우수한 과학기술이더라도, 개발 그 자체만으로 경제적 성과를 만들기 어렵다. 세계를 선도해야 하는 선도형 경제에서는, 창의성이 뒷받침 되어야 한다. 창의성은 경쟁을 통해 양육 된다. 광주의 인공지능 집적 단지 조성사업이 기업군 육성을 목표로 한 이유다. 인공지능이라는 공통 요소를 갖고 있는 이들 기업들이 서로 경쟁한다. 이들 중에 인적 물적 자원을 지속적으로 확보한 극소수의 기업이 글로벌 기업으로 성장한다. 투자자 측면에서는 대/중/소 규모의 회수가 가능한 투자시장이 존재해야 한다. 건전한 투자시장이 존재해야, 생태계가 나아가 그 속에 속한 기업이 성장한다.

 

Our reality is not easy. Both growth and distribution are in a difficult situation. In a reality where growth has ceased, conflicts between progress and conservatism, the metropolitan area and the provinces, and the new generation and the older generation have deepened. We are already an aging society. The productive population is shrinking. Young people need low-quality, highly rewarded jobs. In the age of low interest rates, senior citizens with free money and assets need quality investment. Human resources have been concentrated in very few areas. There is a tremendous inefficiency, the weakening of competitiveness and the lack of diversity that come from not using the whole country. Financial resources are concentrated in the real estate and bond markets, asset values ​​are rising, but wages are not growing, and income polarization is severe. Under these circumstances, it is very difficult for a start-up company to secure a continuous investment. If we fail to grow by creating new growth engines, our economy will have to regress. That’s why the state budget is so valuable.

 

우리의 현실이 만만치 않다. 성장과 분배 둘다 어려운 상황에 처해있다. 성장이멈춘 현실 속에서 진보와 보수, 수도권과 지방, 신세대와 기성세대 간의 갈등이 심화 되어왔다. 우리는 이미 고령 사회다. 생산가능인구가 줄어들고 있다. 젊은이들은 적게 일하고 크게 보상받는 양질의 일자리가 필요하다. 저금리 시대에 돈과 자산의 여유를 가진 고령자는 양질의 투자처가 필요하다. 인적 물적 자원이 극히 일부 지역에 편중되어왔다. 엄청난 비효율이 발생하고, 전 국토를 활용하지 못 한데서 오는 경쟁력 약화, 다양성 부족이 생긴다. 부동산과 채권 시장 등에 금융 자원이 집중되고, 자산 가치가 상승하나, 임금의 성장은 없고, 소득의 양극화가 극심하다. 이런 환경 속에서 창업기업의 지속적인 투자금 확보는 매우 어려운 일이다. 신성장 동력을 만들어 성장하지 못하면 우리 경제는 퇴보 할 수 밖에 없게 된다. 국가 예산을 매우 귀중하게 써야 하는 이유다.

 

I believe that as of 2019, our AI, 5G, and other traditional science and technology support policies are biased. Although it has continued to support startups, no one has grown into a global company beyond Google / Amazon. There is an analysis that government-backed, mass-produced zombie companies with short-term jobs and taxes are being produced. Spending an astronomical budget, he will announce plans for AI development, smart cities, and complex development. Such budgetary use plans only list technology, and there are no reports on how the economy will be virtuous and tax paying companies will be created.

 

What makes the economy work well is growth and distribution. First, start-up companies should be created in the future growth sectors, and these companies should create new growth engines. Second, a social structure that equally divides the results secured by new growth engines should be created. In other words, innovation growth and inclusive distribution. Growth and distribution are distinctly different from one another. Yang and Yin. The two must be in harmony. This ensures future sustainability.

 

나는 2019년 현재, 우리의 AI, 5G 등 전통적 과학기술 지원정책은 편중되어 있다고 본다. 창업지원을 계속해 왔지만, 구글/아마존을 뛰어넘는 글로벌 기업으로 성장하는 기업은 없다. 정부 지원으로 단기 일자리와 세금 먹는 좀비 기업이 양산되고 있다는 분석이 있다. 천문학적 예산을 들여 인공지능기술 개발, 스마트시티, 집적 단지 조성 계획을 발표한다. 그러한 예산 사용 계획은 기술만 나열되어 있을 뿐, 어떻게 경제가 선순환 되어 세금 내는 기업이 만들 어 질 것인지에 관한 보고는 없다.

 

경제가 잘 돌아가게 만드는 것은 성장과 분배다. 첫 째, 미래 성장 분야에 창업기업군을 만들고 이 기업군이 신성장동력을 만들어 내도록 해야 한다. 둘 째, 신성장동력으로 확보한 성과를 고르게 나누는 사회구조가 만들어져야 한다. 즉 혁신성장 과 포용적 분배다. 성장과 분배는 서로 극명하게 다른 성격을 가진다. 양과 음이다. 이 둘이 조화를 이루게 해야 한다. 그래야 미래 지속성을 확보한다.

 

The theoretical basis for the harmonization is found in the Multistakeholder Decision Theory (MDT). Klaus Schwab, who threw the discourse o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received his Ph.D. in 1971 as a dissertation in this field and created the World Economic Forum for MDT practice. To make a decision, all stakeholders affected by the decision must sit at a table and discuss it. That way, the group / university / business / country / world can continue to grow and prosper in the long run. I try to understand each other’s situation and don’t seek my own interests. The society that makes decisions with MDT is a trust society. Societies that disagree with each other, do not listen to each other, and even doubt the authenticity are distrusted. There is no cooperation in unbelief society. Each must be born. The change will be fast and deep in the fourth industrial era.

 

이 둘이 조화를 이루게 하는 이론적 토대는 Multistakeholder Decision Theory(MDT) 에 있다고 본다. 4차 산업혁명 담론을 우리에게 던졌던 Klaus Schwab은 이 분야의 논문으로 1971년에 박사학위를 받았고 MDT의 실천을 위해 World Economic Forum을 만들었다. 어떤 결정을 하기 위해서는 결정에 영향을 받는 모든 이해당사자들이 한 테이블에 앉아 토론을 통해 결정해야 한다. 이렇게 해야 장기적으로 그 그룹/대학/기업/국가/세계가 성장과 번영을 지속할 수 있다는 것이다. 서로 상대방의 처지를 이해해보려고 노력하고, 나 만의 이익을 구하지 않아야 한다. MDT로 의사를 결정하는 사회는 신뢰 사회다. 서로 반목하고 상대방의 말을 듣지 않고, 진위조차 의심하는 사회는 불신 사회다. 불신사회에는 협력이 안된다. 각자도생 할 수 밖에 없다. 변화가 빠르고 깊은 4차 산업시대에 망할 수 밖에 없다.

 

However, there is a 4000-year-old technology that provides a flexible connection between the two. It is financial technology. Finance can connect the present and future, growth and distribution in a virtuous cycle. Common to these relationships is the overcoming of uncertainty. Borrow today and pay off tomorrow. The more uncertain the future, the deeper the future. Innovation occurs when you overcome uncertainty and the risks involved. Overcoming uncertainty requires a lot of effort, time and resources. Goetzmann, author of Money Changes Everything: How Finance Made Civilization Possible (2016), in a recent lecture entitled “4000 years of fintech,” introduces that “finance is the technology that makes civilization possible.” In the absence of numbers and letters, the Mesopotamians made books using clay tablets and catnip, and recorded the transfer of goods and valuables. I made a financial contract that I borrow today and pay off in the future.

 

Money and finance are technologies. This technology has allowed for division of labor and large-scale cooperation, and has enabled civilization to live beyond the uncertainties of the future, such as floods and droughts. In that sense, he saw the emergence of blockchain and cryptocurrency, one of the core technologies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s natural in the digital age. Blockchain is a public ledger maintained by a computer network, and there is no difference in that it can move money and valuable digital assets through public ledger records.

 

 

그런데 서로 다른 이 둘 사이를 유연하게 연결시켜 주는 4000년 된 기술이 있다. 바로 금융기술이다. 금융은 현재와 미래, 성장과 분배를 선순환으로 연결시켜줄 수 있다. 이러한 관계의 공통점은 불확실성의 극복이다. 오늘 빌리고 내일 갚는 것이다. 되갚는 시점이 깊숙한 미래에 위치할수록 불확실성은 커진다. 혁신은 불확실성과 그에 따르는 Risk를 극복할 때 일어난다. 불확실성 극복에는 많은 노력과 시간, 그리고 자원의 투자가 필요하다. Money Changes Everything: How Finance Made Civilization Possible
(2016)의 저자 Yale대학 Goetzmann 교수는 최근 “4000 years of fintech”라는 강연에서, “금융은 문명을 가능케한 기술이라”고 소개한다. 숫자와 문자 조차 없었던 때에 메소포타미아인들은 점토판과 쐐기문자를 사용하여 장부를 만들어 썼고, 상품 및 가치 있는 것들의 이전을 기록하였다. 오늘 빌려 쓰고 미래에 갚는 금융계약서를 만들었다. 돈과 금융은 기술이다. 이 기술이 분업과 대규모 협력을 가능하게 했고, 홍수와 가뭄 등 미래의 불확실성을 뛰어넘어 문명화된 생활을 영위할 수 있게 하였다는 것이다. 그는 그런 의미에서 4차 산업혁명의 핵심기술 중에 하나인 블록체인과 암호화폐의 출현을 디지털 시대를 맞이하여 자연스러운 것으로 보았다. 블록체인은 컴퓨터 네트워크에서 유지하는 공개 장부이고, 공개 장부 기록을 통해 금전 및 가치 있는 디지털 자산을 이동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다를 것이 없다는 것이다.

 


I think it’s time to worry about the government’s investment in AI, big data, and 5G. Amazing new technologies will continue to emerge we have to believe in. Limited resources should not be overly focused on a special small number of technical groups.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brought cryptocurrency and blockchain technology to accommodate future financial systems. Science-based startups such as AI should meet future financial technologies. The key to success in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nd the growth of Korea’s economy and further Global economy is the key here. It is to create a virtuous cycle of innovation and distribution, and to make a role model to settle MDT culture into our society.

 

필자는 이제 인공지능, 빅데이터, 5G 등에 대한 정부의 묻지마 투자를 걱정해야 할 때라고 본다. 놀랍고 새로운 기술은 앞으로 계속해서 나올 것이다. 한정된 자원을 몇 안되는 소수 기술 군에 과도하게 집중하면 안된다. 4차 산업혁명은 미래형 금융시스템을 담을 수 있는 암호화폐와 블록체인 기술도 가져왔다. AI 등 과학기술 기반 창업을 미래형 금융 기술과 만나게 해야 한다. 4차 산업혁명을 성공 시키며, 대한민국의 경제가 지속 성장하여 세계를 선도하는 열쇠가 여기에 있다고 본다. 혁신과 분배의 선순환 구조를 만들고, 롤모델을 만들어 MDT의 문화를 우리 사회에 정착하게 하는 것이다.

 

I would like to have this article concluded by proposing a five-year plan in which virtuous cycle of the fourth industrial economy can be settled in our society. It is a cryptocurrency-based crowdfunding system aiming to foster unicorns. Achievement of rapid investment at home and abroad and free democratic distribution of innovative growth results. The administration budget and outcomes are as follows. The government will raise KRW 1 trillion in innovation fund over five years. The funds will be used to secure KRW 1 trillion in domestic private capital and KRW 3 trillion in overseas investment. All of this money is to be invested only in S & T-based start-ups. The investment of KRW 5 trillion, on average, can be invested in each company for a total of 5 billion years over five years. In other words, a total of 1000 technology companies are fostered. Even if the success rate is as small as 1%, ten unicorn companies would be created within five years. Since it has a value of more than 1 trillion won per unicorn company, it is possible to produce a group of new companies with a total value of more than 10 trillion. Future of hope we can build.

 

본 고를 선순환 4차 산업 경제 5년 계획을 제안함으로 마치고자 한다. 유니콘기업 육성을 위해 암호화폐 기반 크라우드펀딩 시스템을 도입할 것을 제안한다. 신속한 국내외 투자금 확보와 혁신성장성과의 자유민주적 배분이라는 성과를 얻을 수 있다. 투여 예산 및 성과는 다음과 같다. 정부는 5년간 혁신 펀드 1조원을 조성한다. 이 펀드를 마중물 삼아 국내 민자 1조원을, 해외 투자금을 3조원을 확보한다. 이 돈은 모두 과학기술원 기술기반 창업기업에만 투자 되도록 한다. 5조원의 투자금은 평균적으로 각 기업에 5년간 총액 50억씩 투자될 수 있다. 즉 총 1000개의 기술 기업이 육성되는 것이다. 성공률을 1%로 정도로 작게 잡아도, 5년 내에 유니콘 기업이 10개 탄생한다. 유니콘 업체당 최소 1조원 이상의 가치를 가지므로, 총 10조 이상의 기업가치를 갖는 신생 기업군을 배출할 수 있는 것이다.

끝.